6. 공정배관계장도(P&ID) 등 공정안전정보에 자동조절밸브(Control valve)의 “고장 시 열림(Fail open),” “고장 시 닫힘(Fail close),” 또는 “고장 시 현위치 유지(Fail inlast position)”를 명시하고 있다. 고장 시 열림(Fail open)인 자동조절밸브가 고장시 닫힐 수 있는 경우를 설명하시오.
< 6점 / 총 30점 > --> 실무적으로 내용만 알면 고득점을 할 수 있는 부분인데 아쉽다. 정확히 핵심답안을 기술 못 한 듯
--> 컨트롤 밸브의 Fail Open과 Fail Close가 어느 설비에 적용되는지를 설명하고 Fail Open이 닫힐 수 있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작성(정확히 답은 모르겠다.)
!)개요
- 컨트롤 밸브의 Fail Open은 정전 등 비상시에 개구부가 열려야 하는 상황인 설비로 주로 소방배관, 반응기 주변의 냉각수 공급 배관, 스팀 트레이싱에 공급되는 스팀 조절 밸브 등 이런식으로 작성했고
- 컨트롤 밸브의 Fail Close는 정전 등 비상시에 개구부가 닫혀야 하는 상황인 설비로 주로 긴급차단밸브, 원료 공급 밸브 등 계속 공급되었을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설비를 작성했다.
2) Fail Open이 닫힐 수 있는 경우
- 평상시 공기에 의해 닫혀 있다가 공기 공급이 중단되면 Open이 되어야 하는데, 공기 공급 중단이 되지 않는 경우
- 평상시 솔밸브에 의해 닫혀 있다가 정전에 의해 전자석이 해제가 되면 Open이 되는 구조인데 결선이 반대로 되어 있는 경우(추정)
이런식으로 작성했고, Fail Open, Close 관리 비상상황 시 중요하니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하고 주기적 작동시험도 하라 했음. 휴
(인터넷 검색 후) --> 재검토 필요, 기계적인 연결부 고장이 주 원인 추정
페일클로즈 밸브란 무엇입니까?
페일 클로즈 밸브는 전원이 꺼지거나 공기가 중단되면 밸브가 자동으로 닫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이나 공기 공급의 경우 밸브가 열려 있습니다.전원이나 공기가 차단되면 밸브가 자동으로 닫혀 프로젝트의 안전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프로젝트가 위험하고 비상 시 밸브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어야 하는 경우 페일클로즈 밸브가 최선의 선택이 될 것입니다.
COVNA에서는스프링 리턴 공기 작동 밸브,이중 안전 소형 전동 밸브그리고이중 안전형 전동 액츄에이터 밸브귀하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스프링 리턴 액추에이터에는 여러 개의 스프링이 있습니다.따라서 공기가 중단되면 밸브가 자동으로 닫힙니다.
안전 장치 전동 액추에이터에는 배터리가 있습니다.전원이 꺼지면 배터리가 전원이 되어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밸브를 닫습니다.
이 두 가지 유형의 밸브는 페일 클로즈 밸브로 권장되며 귀하의 응용 분야에 적용됩니다.
페일오픈 밸브란 무엇입니까?
페일오픈 밸브는 전원이 꺼지거나 공기가 차단될 때 밸브가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페일클로즈 밸브와는 다릅니다.전원이나 공기를 공급하면 밸브가 닫힙니다.그러나 전원이 꺼지거나 공기가 차단되면 밸브가 자동으로 열립니다.
따라서 페일오픈 밸브는 소방 시스템에 매우 적합합니다.화재 사고로 전원이 꺼지면 밸브가 열리고 물을 소화로 운반하기 때문입니다.
2. • 기계적인 연결부는 밸브1의 액츄에이터의 조정신호를 받는 포지셔너(회색박스)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 공기압력신호가 변하면서 기계적인 연결부와 함께 밸브의 스템이 열림(2)에서 닫힘(3) 위치로 움직입니다. 연결부가 고장나며(4) 밸브는 닫힘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밸브는 유틸리티의 고장 외에 다음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작동이 실패할 수 있음을 인지하세요 ü 기계적인 부품의 고장 또는 분실 ü 녹이나 먼지로 인한 밸브 부품의 고착 ü 밸브 내부 자재의 고착
https://blog.naver.com/summitsec/222714794616?photoView=1
Fail Safe Position
전력 손실에 대한 보호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이루어진다. 정상 작동 시에는 솔레노이...
blog.naver.com
7. 정전에 의한 기계ㆍ설비의 갑작스러운 정지로 인하여 화재ㆍ폭발 등 재해가발생할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정전 시 비상전력이 공급되도록 하여야 한다. KOSHA GUIDE(E-84-2022)에 따라 비상전원을 공급받아야 하는 비상부하설비의 항목(비상전원부하리스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20점 / 총 30점 > --> 평상시 아는 내용이었는데 고득점을 못한 부분 아쉽다.
(시험 볼 때)
--> 가이드 (E-84-2022) 찾아보면 바로 나오는 답이나, 상식적인 선에서 작성했음
1)개요
- 정전시 화재폭발 우려가 되는 곳에 냉각수 공급이라든지 VCU 등에 소각이 안 되어 인화성가스가 체류하면 안 되니까 비상발전기에 해당 부하를 연결하여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를 강조
2) 비상부하설비의 항목
- 조명(필수 조명 밝혀져야 이동 및 조치 가능)
- 무정전공급장치, UPS: 분산제어장치(DCS)가 죽으면 안 되므로 무정전공급장치로 상시 작동되도록 하는데, 무정전공급장치에 부하를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조치
- 냉각수 공급 펌프(회분식 반응기의 경우 냉각이 되지 않으면 반응 폭주로 과압 폭발 우려)
- 소방펌프(24시간 가동해야 함)
- VCU: 가연성 가스 소각되지 않고 체류되면 화재 폭발 우려 있음
- 플레어스택 전기 계장 등, VCU와 같은 맥락 등


가이드와 비교해 보면 정확히 일치하진 않는데,
얼추 맥락은 맞은 것 같다.
모든 가이드를 다 달달달 외울 수 없어서. 암튼 요정도.
'화공안전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제134회 화공안전기술사 1교시 풀이 후기 5(12번) - 만점 받음 (0) | 2024.09.19 |
---|---|
* 제134회 화공안전기술사 1교시 풀이 후기 4 (8번, 9번) - 고득점 (0) | 2024.09.19 |
* 제134회 화공안전기술사 1교시 풀이 후기 2 (4번, 5번) - 최종 점수 포함 (4) | 2024.09.19 |
* 제134회 화공안전기술사 1교시 풀이 후기 1 (2번, 3번) - 최종 점수 포함 (0) | 2024.09.19 |
*제134회 화공안전기술사 필기 점수 결과 (0) | 2024.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