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wide color-bright post-type-text paging-view-more">
본문 바로가기

화공안전기술사

* 제134회 화공안전기술사 1교시 풀이 후기 1 (2번, 3번) - 최종 점수 포함

2. 인적요인 분석모델인 HFACS의 특징 및 분류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 6점 득점 / 총 30점 > - 이 문제는 거르거나 개념을 정확히 기술하는 것이 중요

* 스위스 치즈 이론과 유사한데 항공기 안전관련해서 도입한 이론으로 사료됨, 개인적으로 스위스 치즈 이론은 알고 있었는데 아쉬움

(시험 볼 때)

--> 생전 처음 들어보는 모델이었음, --> 6점 준 것도 다행 ㅠㅠ

안전관리론 기출문제 많이 풀어서 어느정도 예상문제 생각했었는데, 전혀 예상밖의 문제 나옴

 

- Human Factor라는 점을 감안해서 분류하고 특징 및 분류 어쩌구 저쩌구 기술하였음

- 부주의는 객관적 부주의, 주관적 부주의, 생리적 부주의 등이 있고,

어쩌고, 저쩌고 설명했고

- 이러한 부주의 특성을 가진 사람들을 분류해서 그들에 특성에 맞게 업무를 부여한다.

이런 식으로 기술했음.

 

인터넷에서 찾은 답안

1. 특징

- 사고의 발생 원인은 인간의 에러로 인한 잘못된 행동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요인이나 상황적 요소까지 사고에 영향을 미치므로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 사고의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 HFACS는 항공사고의 근원적 원인을 도출하기 위해 도입한 분석 모델로써 승무원, 조직요인들을 포함한 시스템의 인적오류를 네 가지 실수단계인 ① 불안전한 행위(Unsafe Acts), ② 불안전한 행위의 전제조건(Precondition), ③ 불안전한 감독 (Unsafe Supervision), ④ 조직의 영향(Organizational Influence)으로 구분하였다.

 

2. 분류방법

(1) 불안전한 행위: 에러와 위반(Violation)으로 구분되며, 불안전한 행위의 유발조건은 운영자상태, 개인적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 에러는 개인의 정신적, 육체적 활동(Activities)이 의도한 결과를 도출하 는데 실패한 것

- 위반은 비행안전에 요구되는 규정이나 절차를 의도적으로 무시하는 것

(2) 불안전한 행위의 전제조건: 조종사의 불안전한 행위는 약 80%의 사고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불안전한 행위를 할 수 밖에 없었던 전제 조건이나 상황에 대하여 조사하여야 한다. 불안전한 행위 의 전제조건을 분석하는데 관련된 절차는 환경요인, 운영자의 상태, 개인적 요인으로 구성된다.

(3) 불안전한 감독: 부적절한 감독, 잘못 계획된 운영, 문제점 수정 실패, 감독 위반 등의 요인들로 구분.

(4) 조직의 영향: 상위관리자들의 부적절한 의사결정은 관리자들의 감독 업무, 운영자의 상태와 업무수행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 총괄표 참조,  출처: 인적요인분석 및 분류시스템(HFACS) 적용,  최 진 국1 ㆍ권 보 헌2 >

 

3. 플레어시스템에서 플레어헤더, 녹아웃드럼, 액체 밀봉드럼의 정의에 대해 설명하시오. 

< 23점 득점 / 총 30점 > - 좀 더 득점하지 못한 것이 아쉬움

 

(시험 볼 때)

--> 공부했던 문제고 그림까지 그렸음

 

-  플레어시스템은 안전밸브등에서 방출되는 물질을 플레어헤더에 모아 녹아웃드럼을 거쳐 액체를 분리시키고

액체 밀봉드럼을 거쳐 플레어스택에서 소각시키는 폐가스연소설비이다. 구성설비는 연결배관포집설비, 액체관련 제거설비, 플레어 스택 및 부대설비로 구성된다. 등

 

- 플레어헤더: 안전밸브등에서 방출되는 물질을 지선을 따라 포집하는 설비, (1/500 경사를 둔다. 실제 미작성, 나중에 생각남)

- 녹아웃 드럼: 플레어헤더에 포집된 물질의 액체를 분리하는 설비, 액위(레벨)와 연동하여 액체 펌프가 자동으로 가동되어야 한다.

- 밀봉드럼(Seal drum) : 플레어스택의 불꽃 등이 역화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24시간 물이 채워져 있어야 하며, 동파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스팀 트레이싱, 보온 등을 실시해야 한다.

 

* 시험 보고 나와서 바로 작성하는 것으로 모범 답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ㅎㅎ

 

 인터넷에서 찾은 답안

1. 개요

플레어시스템 (Flare system)이란 안전밸브 등에서 배출되는 물질을 모아 플레어스택에서 소각시켜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데 필요한 일체의 설비를 말 하며 플레어헤더, 녹아웃드럼, 액체 밀봉드럼 및 플레어스택 등과 같은 설비를 포함한다.

 

2. 플레어시스템 구성 설비의 정의

(1) 플레어헤더 (Flare header):  안전밸브 등에서 배출된 가스 및 액체를 그룹별로 모아서 플레어스택으로 보내기 위하여 설치되는 주 배관

(2) 녹아웃드럼 (Knock-out drum): 안전밸브 등의 배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액체가 플레어스택으로 가스와 함께 흘러들어 가지 않도록 액체를 분리 포집하는 설비

(3) 액체 밀봉드럼 (Liquid seal drum) : 플레어스택의 화염이 플레어시 스템으로 거꾸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플레어헤더에 약간의 진공이 형성되는 경우 플레어스택으로부터 공기가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 여 설치한 설비

 

3. 플레어시스템 안전관리 (선택 사항임, 2번까지만 작성해도 만점 받을 것 같음, 내가 아는 것 중심으로 작성했음)

(1) 안전밸브 등의 토출 측에서부터 녹아웃드럼사이의 배관에 액체가 정체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안전밸브 등의 토출 측으로부터 녹아웃 드럼 쪽으로 플레어헤더는 경사지게 설치 하여야 한다. 이때의 기울기는 1/500 이상(저온 플레어헤더 제외)의 경사도를 갖도 록 설치하여야 한다.

(3) 공정지역, 저장지역, 지상으로부터의 높이 및 사람과 관련하여 플레어의 위치 및 이격거리는 복사열, 연소생성물의 착지농도를 기준으로 충분히 떨어져야 한다.

(4) 플레어스택에 액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출가스와 비말 동반된 액체의 제거능력이 충분하여야 한다.

(5) 불꽃이 꺼지지 않도록 유속산정에 주의하여야 한다.

(6) 고온 및 저온, 부식성 등 유체의 물성을 고려하여 재질을 선정하여야 한다.

 

또는 계통도나 그림을 그릴 것(저는 그렇게 했음) --> 정의가 부실했으나, 그림으로 만회한 듯

로직 빼고 플레어 헤더 - 녹아웃드럼 - 밀봉드럼(실드럼) - 플레어스택(몰레큘라씰, 버너팁 포함) 작성